카테고리 없음

[2021정보처리기사실기] 02 현행 시스템 분석

shoney9254 2021. 6. 18. 00:04
반응형

1. 현행 시스템 파악

(1) 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

   1단계 : 구성/기능/인터페이스 파악

   2단계 : 아키텍처 및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

   3단계 :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구성 파악

 

(2) 소프트웨어 아키텍처

   1.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4+1뷰     

설명
유스케이스 뷰
(Usecase View)
- 유스테이스 또는 아키텍처를 도출하고 설계하며 다른 뷰를 검증하는데 사용되는 뷰
- 사용자, 설계자, 개발자, 테스트 관점
논리 뷰
(Logical View)
- 시스템의 기능적인 요구사항이 어떻게 제공되는지 설명해주는 뷰
- 설계자, 개발자 관점
프로세스 뷰
(Process View)
- 시스템의 비기능적인 속성으로서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, 병행 실행, 비동기, 이벤트 처리 등을 표현한 뷰
- 개발자, 시스템 통합자 관점
구현 뷰
(Implementation View)
- 개발 환경 안에서 정적인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뷰
- 컴포넌트 구조와 의존성을 보여주고 컴포넌트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 정의
배포 뷰
(Deployment View)
- 컴포넌트가 물리적인 아키텍처에 어떻게 배치되는가를 매핑해서 보여주는 뷰

   2.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

유형 설명 개념도
계층화 패턴
(Layered Pattern)
- 계층화 패턴은 시스템을 계층(Layer)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패턴
- 각 하위 모듈들은 특정한 수준의 추상화를 제공하고, 각 계층은 다음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
- 계층화 패턴은 서로 마주 보는 두 개의 계층 사이에서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짐
클라이언트-
서버 패턴
(Client-Server Pattern)
- 클라이언트-서버 패턴은 하나의 서버와 다수의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패턴
-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서버에 서비스를 요청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
- 서버는 계속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대기
파이프-필터 패턴
(Pipe-Filter Pattern)
- 파이프-필터 패턴은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패턴
- 파이프-필터 패턴은 서브 시스템이 입력데이터를 받아 처리하고, 결과를 다음 서브 시스템으로 넘겨주는 과정을 반복
- 필터 컴포넌트는 재사용성이 좋고, 추가가 쉽기 때문에 확장이 용이
브로커 패턴
(Broker Pattern)
- 브로커 패턴은 분리된 컴포넌트들로 이루어진 분산 시스템에서 사용되고, 이 컴포넌트들은 원격 서비스 실행을 통해 상호작용이 가능한 패턴
- 브로커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간의 통신을 조정하는 역할 수행
- 서버는 자신의 기능들을 브로커에 넘겨주며, 클라이언트가 브로커에 서비스를 요청하면 브로커는 클라이언트를 자신의 레지스트리에 있는 적합한 서비스로 리다이렉션함
모델-뷰-컨트롤러 패턴
(Model-View-Controller Pattern)
- MVC패턴이라고도 하는 이 패턴은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모델, 뷰 컨트롤러 3개의 서브 시스템으로 구조화 하는 패턴
- MVC 패턴은 각 부분이 별도의 컴포넌트로 분리되어 있어서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개발 작업 수행 가능
- MVC 패턴은 컴포넌트를 분리하며 코드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고, 여러 개의 뷰가 있어야 하는 대화형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적합

 

 

반응형